카테고리 없음

신경차단술과 스테로이드

genumedi 2025. 3. 30. 21:01

신경차단술과 스테로이드 주사는 비슷한 점이 있지만, 완전히 같은 것은 아닙니다.

1. 신경차단술 (Nerve Block)

특정 신경이나 신경근 주변에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줄이는 시술입니다.

사용되는 약물은 국소마취제(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등) + 스테로이드가 일반적이지만, 경우에 따라 국소마취제만 쓰이기도 합니다.

주로 허리디스크, 협착증, 신경병증성 통증 등에 사용됩니다.


2. 스테로이드 주사 (Steroid Injection)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주입하는 치료입니다.

관절(무릎, 어깨 등)이나 척추, 신경 주변(경막외 주사 등)에 주사할 수 있습니다.

신경차단술에도 스테로이드가 포함될 수 있지만, 신경차단술 자체가 스테로이드 주사만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신경차단술에는 스테로이드가 포함될 수도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신경차단술도 결국 주사 치료입니다.

의사가 특정 신경 주위에 약물을 주입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시술이므로, 기본적으로 주사를 이용한 치료 방법입니다. 다만, 어떤 약물이 사용되느냐, 주입하는 부위가 어디냐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예를 들어:

경막외 신경차단술: 척추 신경 주변(경막외 공간)에 주사

신경근 차단술: 신경근(척추에서 나오는 신경)에 직접 주사

교감신경 차단술: 교감신경에 주사


이처럼 신경차단술은 주사를 이용한 치료법의 한 종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신경차단술은 염증 치료와 신경 치료가 혼합된 개념입니다.

1. 염증 치료

신경차단술에서 자주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소염제)**는 염증을 줄여 통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나 협착증 등으로 신경이 자극받아 염증이 생긴 경우, 스테로이드가 염증을 줄여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2. 신경 치료 (통증 신호 차단)

신경차단술에는 **국소마취제(리도카인, 부피바카인 등)**도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신경의 통증 신호 전달을 일시적으로 차단하여 통증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마취제의 효과는 일시적이지만, 신경이 과도하게 흥분된 상태를 안정시켜 장기적인 통증 조절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결론

➡ 신경차단술은 염증을 줄이고, 신경을 안정시키며, 통증 신호를 차단하는 치료입니다.

➡ 단순한 염증 치료라고 보기도 어렵고, 신경 자체를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방법도 아닙니다.

➡ 주된 목적은 "통증 조절"이며, 원인 치료보다는 증상 완화에 초점이 맞춰진 치료법입니다.

www.spinomed.info